알아보고 💡

[생활꿀팁] 알아두면 유용한 중앙선 침범 과태료와 이의신청, 모르면 손해!

환포무죠니 2025. 2. 28. 07:09
반응형

중앙선 침범 과태료와 이의신청 절차

얼마 전, 두 개 차선밖에 없는 도로에서 옆에 불법 주정차된 차량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중앙선을 잠시 넘었는데,

그로 인해 과태료 부과 사전 통지서를 받았어요 ʘ̥_ʘ

너무 황당하고 억울했는데요..

혹시 저와 같은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

중앙선 침범의 기준, 과태료 및 벌점, 이의신청 방법까지 깔끔하게 정리해보았습니다.

잘 참고해서 대처해보세요!

 


중앙선 침범의 정의 및 적발 경로와 예외 상황

🚘 중앙선 침범, 정확히 뭐야?

 

중앙선 침범은 말 그대로 도로의 중앙선을 넘어 반대 차선으로 진입하는 행위를 말합니다.

이는 교통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, 도로교통법에 의해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.

    • 적발 경로: 🚓 경찰 직접 단속 or 🚨 무인 카메라(단속 장비)
    • 예외 상황: 도로 공사, 불가피한 장애물(불법 주정차 등)로 피할 곳이 없는 경우

➡️ 문제는 이런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단순히 무인 카메라에 찍혔다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것! 😔
      (아마도 제가 이 경우에 해당하는 듯 합니다..흑흑)

 


 

💸 중앙선 침범 과태료 & 벌점 기준1. 🚨 경찰 단속 시 (범칙금 + 벌점)

 적발 방식에 따라 과태료와 벌점이 달라요.

  • 승용차: 범칙금 6만 원 + 벌점 30점
  • 승합차: 범칙금 7만 원 + 벌점 30점
  • 이륜차: 범칙금 4만 원 + 벌점 30점
  • 자전거: 범칙금 3만 원 (벌점 없음)

2. 📸 무인 단속 시 (과태료만 부과)

  • 승용차: 9만 원
  • 승합차: 10만 원

🔑 중요 포인트: 무인 단속은 운전자를 특정할 수 없어 벌점 대신 과태료만 부과됩니다.

 


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

📝 중앙선 침범 과태료 이의신청 방법

과태료 부과 사전통지서를 받았는데 억울하거나 불가피한 상황이었다면?

이의신청을 통해 구제받을 수 있어요! 

  • 신청 기간: 과태료 부과 통지서 수령일로부터 60일 이내
  • 신청 사이트: 🚩 교통민원24

🔑 이의신청 절차 (쉽고 빠르게 따라하기)

  1. 교통민원24 접속 & 로그인: 공동인증서 or 간편 인증
  2. '과태료/범칙금' > '의견진술/이의신청' 선택
  3. 부과 내역 확인 & 신청서 작성
  4. 증빙자료 첨부: (예: 불법 주정차 차량 사진, 블랙박스 영상 등)
  5. 신청서 제출 ➡️ 완료! ✅

📩 결과 통보: 접수 후 약 1개월 이내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

이의신청 결과는 접수 후 약 1개월 이내에 통보됩니다.

만약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,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
 

🔍 중앙선 침범 예방 팁

  • 도로 상황 미리 확인하기
  • 앞차와의 안전거리 유지하기
  • 블랙박스 상시 녹화 활성화 (증빙자료 확보)

➡️ 불법 주정차 차량이나 도로 장애물이 많을 땐, 블랙박스 영상이나 사진을 꼭 찍어두세요. 이게 이의신청 승인 여부에 큰 영향을 줍니다. 
(저는 블랙박스 영상이 다행히 살아있어 활용했는데, 고지서가 날아오기까지 시간이 걸려 자칫하면 영상이 삭제 될 뻔 했어요 ⚆ȏ⚆)


운전하다 보면 누구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이의신청 절차만 제대로 알아두어도 억울한 과태료는 피할 수 있어요! 

안전운전하시고, 혹시라도 중앙선 침범으로 고민이 생기셨다면 위의 가이드를 참고해보세요! 💡

 

 

반응형